[서울=뉴시스] 권창회 기자 = 지난달 23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사거리에서 직장인들이 출근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. 2025.09.23. kch0523@newsis.com
[서울=뉴시스] 고홍주 기자 = 정부가 연간 노동시간을 1700시간대로 낮추기 위해 '주4.5일제' 등을 도입하겠다고 밝힌 가운데, 업종별 연차휴가 사용률과 월평균 노동시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. 전 업종에 대한 일률적 적용보다 업종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.
9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용노동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, 지난 2023년 연차휴가 사용률은 77.8%였다.
최근
체리마스터 확률 5년간 연차 사용률은 ▲2019년 72.4% ▲2020년 71.6% ▲2021년 76.1% ▲2022년 76.2% ▲2023년 77.8%로 증가하는 추세다.
하지만 업종별로 살펴보면 편차가 컸다.
2023년 기준 전문·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의 연차 사용률은 90.7%에 달했다. 이어 사업시설관리·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
바다이야기규칙 업(86.9%),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(85.9%), 건설업(81.7%) 등이 평균을 웃돌았다.
반면 소상공인과 최저임금 노동자 비중이 큰 '숙박 및 음식점업'은 62.4%로 전 업종 중 최하위로 나타났다. 연차 사용률 1위인 전문·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과 비교할 때 28.3%포인트(p)의 차이를 보였다.
또 수도
광동제약 주식 ·하수 및 폐기물 처리·원료재생업(63.7%), 부동산업(64.2%), 광업(64.5%) 등도 사용률이 낮게 나타났다.
월평균 노동시간은 2021년 160.7시간에서 2022년(158.7시간), 2023년(156.2시간), 2024년(154.9시간)으로 줄어들다 올해 5월 기준 165.5시간으로 반등했다.
업종별로는 제조
다빈치릴게임 업이 182.4시간으로 가장 길었다. 이어 수도·하수 및 폐기물 처리·원료 재생업(180.5시간), 광업(177.3시간) 순으로 나타났다.
최근 5년간 업종별 연장 근로 한도 위반도 제조업 쏠림이 두드러졌다.
구체적으로 올해 6월 기준 연장 근로 한도 위반 적발 내역 총 861건 중 627건(72.8%)이 제조업이었다.
순자산액 연도별로 보면 ▲2021년 711건 중 505건(71.0%) ▲2022년 1100건 중 763건(69.4%) ▲2023년 1440건 중 950건(66.0%) ▲2024년 1658건 중 1100건(66.3%) ▲2025년 1~6월 861건 중 627건(72.8%)이었다.
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"실노동시간을 줄이겠다는 정부의 목표가 제대로 실현되려면 업종별 노동현실의 격차를 먼저 직시해야 한다"며 "장시간 노동을 줄이고 삶의 균형을 지키기 위해 현장의 사각지대를 메우는 실질적 대책이 시급하다"고 강조했다.
☞공감언론 뉴시스 adelante@newsis.com